[리뷰] 국립극단 <천 개의 파랑>

글_홍혜련

 

국립극단의 ‘창작공감:연출’ 기획 공연 <천 개의 파랑>은 천선란 작가의 동명의 SF 소설을 원작으로 삼아 ‘과학기술과 예술’을 주제로 약 7개월간의 개발 과정을 거쳐 무대에 올랐다. 특히 이번 공연은 국립극단 최초로 ‘로봇’을 무대에 올린 것으로 주목받았다.

 

사진 제공: 국립극단

 

이 ‘로봇’ 배우가 연기한 C-27(후에 콜리)은 경주마를 달리는 기수 로봇이다. 로봇이 조종하기에 경주마의 속도는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점점 더 빨라지고, 결국 달리는 것을 진정으로 즐겨 내내 1등을 놓치지 않던 C-27의 파트너 경주마 투데이도 다리에 심각한 문제가 생기고 만다. 이를 감지한 C-27는 스스로 말에서 떨어져 투데이를 구하는 선택을 하고 자기 자신도 심각하게 부서져 폐기 처분의 위기에 놓인다. 그런데 그런 C-27 앞에 17살 연재가 나타난다. 이제부터는 C-27이 아니라 브로콜리, 줄여서 콜리다. 연재와 함께 지내게 된 콜리는 연재의 언니 은혜, 엄마 보경과 셋이서 같이 살게 된다. 은혜는 어릴 적 소아마비를 앓아 휠체어에서 생활한다. 처음 소아마비임이 밝혀졌을 때 수술을 통해 기계 몸으로 대체할 수도 있었지만, 소방관이었던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시고 엄마 보경이 악착같이 돈을 벌어 생계를 이어 가야 했기에 은혜는 수술비를 마련하지 못해 결국 휠체어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연재의 도움으로 다시 다리를 얻은 콜리는 더 이상 빠르게 달릴 수 없는 경주마 투데이를 위해 마지막 경주를 준비한다.

 

사진 제공: 국립극단

 

“우린 이제 천천히 달리는 연습이 필요해.”

 

경쟁과 속도, 그 속에서 뒤처지는 존재들에 대한 공감과 위로의 메타포는 이 대사만으로도 확연히 읽힌다. 그러나 소위 SF연극을 표방한 <천 개의 파랑>은 안타깝게도 비슷한 주제를 가진 기존의 서사들에서 한 발자국 더 나아가지 못했다.

로봇 콜리에게는 비인간이 인간에서 너무 벗어나 있지 않기를 바라는 지금 인간들의 희망이 투사되어 있다. 인간에게 공감하고 인간을 배우고 인간을 배려하는, 소위 인간보다 더 인간적인 비인간. 이런 유사 인간 캐릭터는 뒤집어 생각하면 인간 중심적 사고방식과 한 궤를 그린다. 요즘 들어 부쩍 연극계에 SF 소재가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는 과학 기술의 발전과 발걸음을 맞추기 위한 흐름으로 보이나, 혹 신선한 소재를 빌려 와 지금까지 쭉 해 왔던 이야기를 다시 한번 방식만 바꿔 반복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공연은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기술에 대해 이야기한다. 이는 연재가 휠체어 생활을 하는 언니 은혜를 위해 계단과 언덕 등을 오를 수 있도록 모양이 변형되는 바퀴를 개발해 상을 받는 장면에서 도드라진다. 연재는 수상 소감으로 “문명이 계단을 없앨 수 없다면 그런 계단을 오를 수 있는 바퀴를 만들면 되지 않을까. 기술은 그러기 위해 발전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여기서 ‘계단’이 상징하는 바는 명징하다. 그러나 진정으로 누구나를 위한 기술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면 기술이 있음에도 거기에 가 닿을 수 없는 ‘사회 구조적 분배 불평등’에 대한 이야기를 했어야 하지 않나. 인간을 위한 기술을 논하는 이 공연에는 그러나, 그에 대한 질문과 고민이 결정적으로 빠져 있다.

 

사진 제공: 국립극단

 

기술은 앞으로 눈부시게 발전할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기술 발전은 사회 구성원 간 격차를 심화하는 데 오히려 크게 기여할 가능성이 농후하다. 왜? 기술을 누리는 데는 돈이 들기 때문이다. 아무리 손으로 달을 가리려 해도 달이 거기에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다소 과격한 발언일 수 있으나 이번에 선보인 로봇 배우도 국립극단이 아니었다면 쉽게 개발할 수 없었을 것이다. 현재의 흐름이 계속된다면 돈 없는 자는 점점 발전하는 기술 사회에서 더욱더 소외될 수밖에 없다. 연재의 바퀴는 과연 연재의 친언니인 은혜 외에 필요한 다른 모든 이에게 아무런 대가 없이 무상으로 제공될 수 있을까. 아니라면 은혜가 처음 갖지 못한 기계 몸과 연재가 새로 개발한 바퀴는 무엇이 다른가. 그에 대한 논의가 생략되어 버린 연재의 말은 공허할 뿐이다.

최근 챗GPT에 대한 열광적 반응이 잠시 시들해진 사이, 테슬라 최고경영자 일론 머스크가 인간을 능가하는 AI가 1~2년 내에 나올 수 있다고 깜짝 발표해 다시 한번 경종을 울렸다. 이렇듯 로봇과 AI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빠른 속도로 현실이 되어 다가오고 있다. 우리는 이제 이 흐름을 우회할 수도 부정할 수도 없다. 이렇게 급격한 기술 과학의 발전 ‘속도’를 감당하기 위해 우리는 제일 먼저 무엇을 해야 하는가. 경주마 기수 로봇 콜리의 <천 개의 파랑>은 우리 코앞에 닥친 이 절박한 문제를 맞이해 천천히 가되 눈을 가리거나 돌아가지 않고 정면을 내딛는 질문을 할 수도 있었을 공연이기에 더욱 안타깝다.

 

 


  • 무료정기구독을 원하시는 분은 ohskon@naver.com으로 메일을 보내주세요.
  • 리뷰 투고를 원하시는 분은 ohskon@naver.com으로 원고를 보내주세요.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